
16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의 한 카페에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감독 김병우)의 배우 안효섭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
안효섭은 10년 넘게 연재된 소설의 결말을 알고 있는 유일한 독자 '김독자' 역을 맡아 강렬한 스크린 데뷔에 나섰다. 안효섭은 "첫 스크린 데뷔작이라는 점이 굉장히 설레는 것 같다"며 "워낙 큰 IP(지적재산권)고 대작이라고 해서 부담도 되고 망설여지기도 했었는데 항상 그랬듯 또 하나의 작품을 만난 거라고 생각했다. 이 작품의 크기나 스케일에 대한 무게보다는 어떻게 하면 나만의 '김독자'를 만들까 하는 고민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평소에 좋아했던 감독님, 형, 누나들과 함께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 훌륭한 제작진분들이랑 함께할 수 있어서 좋았고, 모든 상황이 감사했다"고 말했다.

이어 "작품을 촬영하고 이렇게 오래 기다려본 적이 처음이라서 (개봉하는 게) 훨씬 보람이 큰 것 같다. 그만큼 당연히 떨리고, 망설여지는 부분도 있었지만, 어쨌든 작품을 고를 때 제가 마음이 부를 때 하는 타입인 것 같다"며 "'이 작품은 잘 되겠다', '이 제작진과 함께라면 성공하겠다' 싶은 것보다는 제가 끌리면 하는 사람이다. 제가 선택한 거에 대해서는 후회가 없고 보람찬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작품 취향에 대해서는 "제가 잘 몰랐는데 판타지 장르를 좋아하는 것 같다. 돌이켜 보면 제가 찍은 작품 중에 판타지가 많은 것 같더라. 촬영 자체는 힘들 수도 있는데 제가 사서 고생하는 스타일인 것 같다. 저도 모르는 제 취향을 찾은 것 같다"고 했다.
또한 안효섭은 김병우 감독과 첫 만남을 회상하며 "감독님이랑 처음 미팅했을 때가 기억나는데 '왜 절 캐스팅하셨어요?'라고 질문드렸는데 '지극히 평범해서'라고 하시더라. 근데 저에게는 그 말이 도움이 됐다. '모든 사람의 관점은 다르고, 어떤 사람은 나를 그렇게 바라볼 수 있구나'라고 느꼈고, '내가 너무 내 세상에 갇혀있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렇게 하나하나 구축하다 보니까 저만의 '김독자'를 만들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자신만의 '김독자'를 완성하는 과정 속 시행착오도 있었다고. 그는 "가장 중요한 지점은 모두가 '김독자'인 것 같은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었다. 감독님에게 항상 '너무 멋있지 않았나요?', '히어로 같지 않았나요?'라고 물었다. 촬영 들어가기 전에 감독님과 '독자'에 대해 얘기했던 과정부터 카메라 앞에 처음 섰을 때까지 매순간 어렵긴 했다. '이게 '독자' 같은 건가?', '너무 주인공처럼 하는 거 아닌가?'하는 고민에 세세한 디테일을 맞추는 작업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육체적으로 힘든 부분도 있었다며 "더 뛰고 싶어도 다리가 말을 안 듣는 순간도 왔다. 실제로 조금씩 다치기도 했고, 모든 배우들이 마찬가지였다. 중간중간 감독님과 (캐릭터 해석 과정에서) 마찰이 있었고, 캐릭터에 대한 건강한 토론을 나눴다. 모든 과정이 저한테는 시행착오로 느껴졌다"고 덧붙였다.

이어 "촬영은 정신없이 하다 보니까 별생각 없었는데 포스터 나오고 신기했다. 캐나다 있을 때부터 이민호 선배님 작품을 좋아했다. 그래서 감회가 새롭기도 하고, 신기했다"면서 "10년 만에 만났는데 형이 스스럼없이 대해주셔서 빨리 친해졌던 것 같다"고 밝혔다.
안효섭은 여러 배우들과 호흡을 맞춘 데 대해 "모든 배우들 한 명 한 명이 단단한 산 같았다.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중심이 분명히 있었고,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삶의 기준이 보였다. 오히려 그런 점이 저한테는 되게 영화와 잘 맞는다고 생각했다. 각자 다른 환경에서 자라온 다른 분야의 사람들이 뭉쳐서 한 팀이 되는 게 좋았던 것 같다. 다들 베테랑이라서 편하게 연기했던 것 같다"며 "배우들 모두 자기 캐릭터만 보는 게 아니라 전체적인 그림을 보고 있다는 걸 느꼈고, 자기 위치에서 자기 몫을 해낸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들 내향인이라서 가깝게 지내진 않았지만, 영화 안에서 우리 사이도 마찬가지다. 억지로 다가가서 친해질 필요가 없다고 느꼈다. 사이가 나쁜 건 절대 아니"라고 웃으며 "다들 촬영하고 고생하고 돌아오면 격려해줬고, 같이 있었기에 이겨낼 수 있었던 지점이 있었다. '나만 힘든 게 아니구나'라고 위로가 됐다"고 전했다.

이어 "배우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은 현장에서 다 했다고 생각한다. '난 다 했으니까 땡'이라는 말은 절대 아니다. 저는 열심히 '김독자'를 사랑했고, 잘 표현하고 싶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애정도 생겼고, 제 마음속에서는 이미 너무 뜻깊은 인물과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는데 거기에 흥행도 뒤따라 온다면 너무 행복할 것 같다"고 말했다.
워낙 방대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 만큼 후속작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안효섭은 "원작이 워낙 방대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보니까 한 편으로 끝내는 게 무리가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스스로는 후속작을 염두에 두고 일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 '독자'가 좀 더 멋있어지는 그날까지 염원하는 면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희망하고 있지만 모든 게 잘 따라줘야 하기 때문에 희망만 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원작이 있는 작품은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는 지점이 있는 것 같다. 부담감은 안고 가야 한다"면서도 "모든 제작진과 배우들이 두 시간 안에 즐거운 경험을 선사하려고 노력했다. 최선을 다했고, 결과적으로 재밌게 나왔다고 생각한다. 많은 기대와 사랑 주시면 감사하겠다. 꼭 극장에서 좋은 경험 하셨으면 좋겠다. 시간 아깝지 않았다는 평가를 듣고 싶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지적 독자 시점'은 오는 23일 개봉한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